개발도상국에 ‘옷 쓰레기 산’을 만들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 패스트 패션 기업은 매장 내에 수거함을 설치했다. 이런 프로젝트들로 옷의 재활용에 ‘기여’한다고 말한다.
수도권에 있는 패스트패션 브랜드 H&M매장 안에 설치된 의류 수거함
검증을 위해 2024년 8~9월 중 H&M 수거함에 6벌의 옷을 넣었다. 약 4개월이 흘렀다. 2024년 12월12일 기준, H&M 수거함에 넣은 옷 2벌이 말레이시아로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. 말레이시아로 간 옷은 인도네시아로 주로 수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 H&M 쪽은 “한국의 매장 헌 옷 처리를 글로벌 본부 차원에서 진행한다. 본부가 계약을 맺은 재활용·분류 업체가 선별작업을 하기에 국외에 모인 것”이라고 해명했다.
전문가들은 이런 헌 옷의 이동이 반드시 나쁘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, 개발도상국에 갔다는 점에서 ‘쓰레기 수출’로 귀결되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.